본문 바로가기

해외여행사진238

교원사진연구회 33회 회원전 교원사진연구회 33회 회원전이 유투브 영상자료로 탑재하였습니다. 주소를 말씀드리면 https://youtu.be/Nucq4k27zt4) 입니다. 컴퓨터로 보시면 더 크고 선명한 영상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 까페 주소는 cafe.daum.net/shs4481 입니다. 카페 상단의 전체글을 선택하시면, 로고와 전시회가 나오고, 아래에는 회원별로 3점씩 개별 작품이 따로 소개되어있습니다. 2022. 12. 29.
2022 품평회 품평회가 다가오는데, 금년도엔 촬영한 작품이 없어서 곤란을 겪고 있었다. 생각다 못해 금년도 사진이 아닌 작품에서 골라보기로 했다. 미연마와 캄보다아여행중에 찍었던 사진과 연초에 찍은 사진을 골라 보았다. “미얀마의 여인”이라고 명명하였다. 바간에 갔을 때 점심시간에 식당 앞의 민속공예품 제작소에서 잡은 사진이다. 충남사협회원전에 출품하였다. “용과 여의주”라 명명하였다. 연초에 여수항을 갔을 때 잡은 장면이다. 논산 사협 전시회에 출품하였다. “귀항” 해질 무렵에 돌산도에 갔었는데 어선이 여수항으로 돌아들고 있었다. “덕을 많이…” 연산 돈암서원(遯巖書院)에서 산앙루(山仰樓)에 올랐는데, 입덕문(入德門)을 나서는 부녀를 촬영하였다. "카르낙의 여인” 2010년에 이집트에 갔었다. 카르낙신전에서 외국여인.. 2022. 12. 9.
포토삽 연습 2 불갑사 꽃무릇 촬영시 연구가 부족하여 공친 기억이 있는데 집에서 뒤적이다가, 이래도 되는지 양심의 가책은 느꼈지만, 저수지 사진과 꽃송이 사진을 가지고 장난좀 쳐 보았다. 저수지 수면에 꽃무릇 사진을 오려 붙여보았다. 한송이 사진이다. 꽃송이를 불러, 이미지 크기에서 1/3로 축소하고, 도구상자 '빠른선택도구', 옵션 '허용치 50%'로 배경을 선택하고, '선택'메뉴에서 '반전'선택하고, Ctrl+C로 선택을 하여, 저수지사진에 붙이기(Ctrl+V)를 반복한다. 네송이가 어울려 있는 사진이다. 같은 방법으로 오려 붙이되, 방향을 좌우회전하여 사용하였다. 꽃사진을 배경을 제외하고 복사하여 붙이기를 여려번 반복하였다. 다꽃의 크기를 더 작게 해 보았다. 다른 식물이 전혀 없어 부자연스럽고, 조작한 냄새가 너.. 2022. 11. 26.
포토샵 연습 9월 23~24일 불갑사로 꽃무릇 촬영을 갔다. 꽃무릇 촬영의 연구가 부족하여 좋은 작품을 얻지 못하였다. 홀로 터덕터덕 돌아오다가 눈에 뜨이는 복장을 한 처자가 폰으로 촬영하는 모습을 보았다. 옆에서 재빨리 한컷 잡았다. 나중에 살펴보니 눈에 거슬리는 것이 있었다. 여인의 전면에 다른 사진작가 한분이 있었는데 거슬려서 지워 보았다. 그러고 보니, 전면의 커다란 나무가 등컬만 있고, 잎이 전혀 없어서 부자연스러웠다. 그래서 나무도 지워보았다. 그리고, 전면 근경의 꽃이 빈약하여 무성한 곳에서 오려 붙야보았다. 그러고 보니, 전면의 남자 사진사들이 너무 모여 있고, 자연스럽지 못하여 지워보았다. 그리고, 길과 울타리 등을 조정하고, 근경을 진하게 당겨 보았다. 이렇게 여러번 지우고, 화면 조정을 하였지만,.. 2022. 11. 25.
티스토리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1 글을 작성하고 블로그를 관리해보세요.티스토리에 오신 걸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이 글은 비공개로 작성돼 있습니다.'편집'으로 내용을 바꾸시거나, 삭제 후 '새 글을 작성'하셔도 됩니다.글 뿐만 아니라 블로그의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블로그관리'를 확인해보세요. #2 다양한 스킨이 있어요.티스토리에 있는 다양한 '스킨'도 살펴 보세요.블로그나 사이트를 사용하는 목적에 맞게 스킨을 고를 수 있습니다.어떤 이야기를 주로 2022. 9. 28.
덕유산자연휴양림에 7월말에 국립공원 덕유산자연휴양림에 가서 하룻밤을 자고왔다. 아침나절에 "독일가문비나무 숲"이 있다기에 올라가 보았다. 크지않았지만 그런대로 운치가 있어 몇컷 잡아보았다. 북쪽 정면에서 머리위까지 4컷을 이었다. 아침해가 보이길래 그를 넣고, 하늘 구멍을 잡았다. 다시 바닥을 넣고 하늘 구멍까지 잡았다. 오는 길에 구천동 인월담에 들렀다. 조금 더 올라가 구월담에도 들렀다. 모두 카메라 삼각대가 준비되지 않아 단타임만 찍었다. 시간관계상 덕유산으로 향했다. 덕유산 정상에서 이정표를 잡았다. 이어서 이곳저곳의 여름하늘을 잡아 보았다. 2022. 8. 14.